코인 & 가상화폐/기술적 분석 & 패턴

기술적분석 7편 - 거래량

서기도기 2021. 7. 20. 03:42
728x90
반응형

8. Volume Part 1 ………………………. 60

성공적인 매매를 위해서는 가격과 거래량 두 가지 툴만 있어도 된다.

모든 보조 지표들은 저 둘에서 파생된 것이기 때문이다.

12모듈에 거쳐 거래량을 공부할것이다

 

(역식자 주: 12모듈이 뭔지 못찾음 혹시 아는 사람은 댓글 링크좀 달아주셈)

 

첫번째 모듈에서는 다음의 것들을 다룬다.

1. 거래량의 의미는?

2. 평균 거래량이란?

3. 거래량이 많은 것, 적은 것이란?

4. 거래량이 왜 중요한가?

5. 거래량과 가격 추세 & 반전

6. 지지와 저항에서 진입

7. 결론

 

1. 거래량의 의미는?

거래량이란 무엇인가?

특정 시간동안 거래된 자산을 말한다.

사는 것, 파는 것을 하나의 단위로 보고 이는 거래량이 2가 아니라 1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바이낸스에서 비트코인의 거래량이 403만 달러였다면

이건 403만 달러어치 만큼의 구매자와 판매자가 있었다는 말이다.

 

아래 표를 통해 거래량이 어떻게 거래되는지 이해할 수 있다.

 

역주: 여기서 총 거래량은 누적 거래량을 뜻 함

즉 판매거래량과 구매거래량은 거래량 특성상 항상 동일하고 500, 650, 550, 400

누적 거래량은 각 거래량이 위의 각 시간별 거래량을 누적한 것임 500, 1150, 1700, 2100

 

많은 사람들이 총 거래량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잘 못 알고 있다.

 

다음 예시는 Forex Trading 튜토리얼에서 총 거래량에 대한 설명을 가져온 것이다.

 

질문에 답하기 전에 거래량이 뭔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

거래량은 특정 시간동안 상품이 매매된 횟수이며

만약 하루에 1,600,000의 구매가 있고 1,400,000의 판매가 있었다면

해당 주식의 하루 거래량은 3,000,000이다.

 

다른 말로 하면 특정 시간동안 판매된 양과 구매된 양의 총 합이다.

즉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상호작용을 말하며

이 싸움의 결과가 차트에 히스토그램으로서 표시되고

시장이 어느 방향으로 갈지 판단할 수 있는 좋은 지표가 된다.

 

역식자 주

요약하자면

엠페러 아저씨가 지적하는 거래량에 대한 잘못된 설명은

'판매거래량과 구매거래량이 다르고

총거래량은 두 거래량의 합이다' 라고 설명하는 것이고

 

엠페러 아저씨가 말하는 거래량에 대한 올바른 설명은

'판매거래량과 구매거래량은 같고

총거래량은 각 거래량의 누적이다'라는 말을 의미함

 

거래량은 그 자체만으로는 쓸모가 없다.

24시간 동안 비트코인이 10억 달러가 거래됐다는 건 알아도 쓸모가 없다.

하지만 이전 가격움직임(price action)과 거래량을 적절히 조합할 수 있으면

매매를 하는데 도움이 된다

 

2. 평균 거래량은 뭐냐?

거래량에서의 이동평균(MA)이다

이 평균의 설정수치는 알아서 정하면 된다

트레이딩뷰에서 기본값은 20으로 되어있고 나(Emperor)는 14쓴다

 

 

3. 적은 거래량과 많은 거래량은 뭐냐?

거래량과 유동성은 다른 개념이다.

많은 거래량이다 적은 거래량이다 하는 것은 상대적인 개념이다.

적은 거래량은 평균 거래량보다 거래량이 적을 때를 말한다.

많은 거래량은 평균 거래량보다 거래량이 많을 때를 말한다.

4. 거래량이 왜 중요한가?

거래량의 증가는

1. 관심도 증가

2. 대형 펀드(스마트머니, 기관)의 사고 팔고를 의미한다

 

스마트 머니들은 거대 자본과,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양반들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머니들은

대가리 좋은 사람들이 대가리 맞대고 도출한 더 좋은 분석과

다양한 인맥을 통한 더 좋은 정보들을 알고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거래량이 많은 구간은 스마트 머니의 출입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이 들어오고 나갈떄 거래량이 눈에 띄게 증가한다

 

거래량이 낮은 구간은 개미들이 쥐좆시드로 사고 파는 구간이다.

가격의 약세와 불확실성을 보여준다.

 

결론

거래량 많다 = 스마트 머니가 들어옴.

따라서 주의깊게 살펴봐야한다

 

5. 거래량과 가걱 추세 & 반전

거래량의 영향은 아래 표를 보면 된다

4가지 상황에서 어떻게 진입하고 포지션을 언제 추가할지 알아보자

 

 

1. 거래량 증가하면서 가격 상승

거래량이 가격 상승 추세를 지지해준다.

즉 거래량이 상승을 컨펌했다고 할 수 있다.

 

 

2. 거래량 감소하면서 가격 상승

많은 트레이더들이 이걸 추세 반전이라고 생각하지만

거래량은 감소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는 추세반전이 아닌 반등이다.

 

 

가격이 상승하는데 거래량이 감소한다는 것은

상승추세가 거래량에 의해 지지받지 못 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럴때 롱을 진입하는 것은 안전하지않다.

이런 움직임은 추세의 반전보다는 일시적인 반등일 가능성이 크다.

 

3. 거래량 증가하면서 가격 하락

높은 모멘텀의 숏 = 이전 지지 돌파

 

(이 이론은 David. H. Weis가 처음 설명함)

 

5. 거래량과 역망치를 이용한 청산신호

다음과 같이 나타나면 청산을 봐야함

1. 거래량이 증가하는 상승 추세에서

2. 작은몸통의 긴 윗꼬리(역망치)가 많은 거래량과 함께 발생

 

이건 프라이스 액션에서 이상현상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반전을 대기해야함

 

예시

 

 

6. 되돌림이냐 반전이냐

되돌림 전략

간혹 사람들이 되돌림을 보고 추세가 반전됐다고 판단함

난 상승의 되돌림에서 숏치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다.

오히려 되돌림은 포지션 추가의 신호이다

 

상승 추세에서

거래량이 적은 주가의 하락은 반전보다는 되돌림일 가능성이 크다

 

 

ps.

1. 원문 PDF

https://img1.wsimg.com/blobby/go/3145e02c-917b-4182-8cfe-7a4432e3459d/01%20EmperorBTC%20Trading%20Manual_final.pdf

 

 

메이저 거래소 수수료 혜택 받고 회원가입 해두기

 

FTX

 

BInance

-

 

잡코 갤러리 오픈 카톡  (비밀번호 :00123456)

 

잡코 갤러리

#비트코인 #알트갤러리 #디파이 #탑샷 #nft #ftx #바이낸스 #코인빗 #코인원 #정보공유방 #팬케익 #전자화폐

open.kakao.com

 

디파이 /선물 / 알트/NFT  등 등 돈 되는건  다 한다고 보면 된다. 편하게 들어와서 친해지도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