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 가상화폐/기술적 분석 & 패턴

기술적 분석 5편 - 리스크 관리 (1)

서기도기 2021. 7. 19. 04:58
728x90
반응형

FACT!: 트레이더의 90%는 돈을 잃는다.

 

리스크 관리 소개

리스크 관리를 통해서 10%안에 드는 방법을 배워볼 것이다.

리스크 관리는 가장 중요하지만 가장 무시당하는 개념이다.

 

나는 리스크 관리를 하지 않으면 모든 매매법은 쓸모없다고 생각한다.

90%의 트레이더가 리스크 관리 부족으로 돈을 잃는다고 했으니

이것의 중요함을 더 설명하지는 않겠다.

 

 

리스크 계산 방법

만악 리스크 관리를 수학적으로 철저하게 관리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파산하게 될 것이다. 반드시

 

 

지금부터 5% 법칙으로

최적의 포지션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배울 것이다.

한번의 매매에서 3-5%를 넘는 리스크를 지지 말아라.

나는 3%를 선호하고 5%는 공격적 기법이다.

 

 

이게 이상하게 들릴수도 있는데 좀더 자세히 이해해보자

 

 

어느 한 시장에서의 리스크는 총 자산의 5%를 넘지 말아야한다.

이 5%는 트레이더가 매매에서 틀렸을 때 각오할 수 있는 손절의 크기이다.

무슨일이 있더라도 한번의 트레이딩에서 5% 이상의 손실을 보면 안된다.

 

 

그리고 5%리스크와 레버리지를 이용해

한번 트레이딩할떄 사용하는 포지션 사이즈를 결정하게 된다

 

만일 10만 달러의 계좌가 있다면 한번의 매매에서 5천달러를 넘는 리스크를 지면 안 된다.

총 자산 5%로 매매하라는 것은 포지션의 크기를 5%로 두고 매매하라는 뜻이 아니다.

한번의 매매에서 총 자산의 5%까지만 리스크를 지라는 것이다.

 

 

계산방법

10만달러의 총계좌에서

5%의 리스크인 5천 달러를 최대 리스크로 잡고

포지션 크기를 어떻게 잡을 수 있는지 알아보자

 

총 자산 = $100,000

허용가능한 리스크 = $100,000의 5% = $5,000

트레이딩 사이즈 = 레버리지 x 리스크 = 20 x $5,000 = $100,000

레버리지를 20이라고 가정하자.

레버리지는 스탑 로스를 기준으로 결정되야 한다.

 

나는 기술적 분석으로만 스탑 로스와 레버리지를 결정한다.

레버리지에 대해서는 스탑 로스를 설명할 때 다루도록 하겠다.

 

원문 PDF

https://img1.wsimg.com/blobby/go/3145e02c-917b-4182-8cfe-7a4432e3459d/01%20EmperorBTC%20Trading%20Manual_final.pdf

 

 

메이저 거래소 수수료 혜택 받고 회원가입 해두기

 

FTX

 

BInance

-

 

잡코 갤러리 오픈 카톡  (비밀번호 :00123456)

 

디파이 /선물 / 알트/NFT  등 등 돈 되는건  다 한다고 보면 된다. 편하게 들어와서 친해지도록!

반응형